Surprise Me!

[1번지이슈] 한미, 맞춤형 억제전략 개정…'동맹 국방비전' 채택

2023-11-13 0 Dailymotion

[1번지이슈] 한미, 맞춤형 억제전략 개정…'동맹 국방비전' 채택<br /><br /><br />이번 주에는 한반도의 안보, 국방과 직결된 국제회의가 내내 이어집니다.<br /><br />오늘 서울에서 열린 한미안보협의회의에선 한미 국방장관이 개정된 맞춤형 억제전략에 서명했고요.<br /><br />샌프란시스코에서 열리는 에이펙(APEC) 정상회의에선 미중 정상회담에서 북한 문제가 거론될 것으로 보입니다.<br /><br />김진아 한국외대 LD학부 교수님과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.<br /><br /> 한미 국방장관이 참석하는 한미 안보협의회가 열렸습니다. 신원식 장관이 취임한 이후 두 사람의 첫 대면인데, 고도화하는 북한의 핵·미사일 위협에 대응하기 위한 전략문서인 '맞춤형 억제전략'이 10년 만에 개정됐죠?<br /><br /> 올해 한미안보협의회의의 핵심 현안 중 하나는 9·19 남북군사합의 효력 정지 논의 여부인데요. 신 장관은 조속한 효력 정지가 필요하다고 강조해 왔는데요. 로이드 오스틴 미 국방장관이 기자회견에서 "9·19 군사합의를 어떻게 해결할지 긴밀 협의하기로 했다"고 밝혔습니다. 논의 어떻게 진행될 것으로 보세요?<br /><br /> 오늘 회의에서 우리 군이 미국의 조기경보위성 정보를 실시간으로 공유받는 데에도 합의했습니다. '조기경보위성' 정보 공유는 어떤 효과가 있나요?<br /><br /> 이 밖에 한미 국방장관은 공동성명과 별도로 한미의 공동 위협을 북한으로 명시한 '한미동맹 국방비전'을 채택해 발표했습니다. 한미 양국의 국방비전 발표는 2019년 11월 이후 4년 만인데요. 북한은 공동위협이라고 명시했다고요?<br /><br /> 미국과 중국의 정상회담 일정이 15일로 확정됐습니다. 대통령 선거를 앞둔 바이든 미 대통령과, 경제 부진을 겪고 있는 시진핑 중국 주석에게도 이번 회담이 중요해 보입니다. 이번 정상회담, 양국에 어떤 기회라고 봐야 할까요?<br /><br /> 백악관은 군사와 경제 문제, 우크라이나와 중동 전쟁 등 모든 의제가 테이블에 오를 것이라고 밝혔습니다. 하지만 미중 인식 차이가 큰 만큼 성과에 대한 기대감은 그리 높지 않은 분위기로 보입니다?<br /><br /> 최근 북한과 러시아가 군사 분야에서 밀착하고 있는 만큼 미국과 중국의 긴밀한 협의가 필요해 보이는데요. 북한 문제 해결을 위해 중국 측에 '건설적 역할'을 요청할 거란 전망이 나옵니다?<br /><br /> 일본 언론 보도에 따르면 윤 대통령은 미국 스탠퍼드 대학에서 기시다 일본 총리를 만날 것으로 보입니다. 두 정상은 한일 및 한미일 첨단 기술분야 협력을 주제로 한 좌담회에 참석하는 일정을 조율 중인 것으로 전해졌는데요. 별도 정상회담 북한 핵이나 미사일 문제에 대한 논의가 이뤄질 것으로 보여요?<br /><br /> 오는 18일은 북한이 작년 11월 18일 ICBM 화성-17형의 최종 시험발사 성공을 기념해 제정한 '미사일 공업절'이기도 한데요. 북한이 APEC 회의 기간에 도발을 하는 것 아니냐는 관측도 있습니다?<br /><br /> 우리나라가 30일 독자기술로 개발한 군사정찰위성을 발사합니다. 공교롭게도 북한도 이때쯤 정찰위성을 시험 발사할 가능성이 있어 보여요?<br /><br /> 남북 정찰 위성의 기술력 차이는 약 100배라고 알려져 있는데요, 북러 회담 이후, 러시아가 정찰위성 기술을 북한에 전수했을 거란 해석도 있는데요. 그러나 일각에선 러시아가 북한에 기술을 지원하더라도 시간을 끌면서 할 거란 관측도 있어요?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

Buy Now on CodeCanyon